2024년 1월 28일 일요일

부평 공연

 

어제 토요일, 공연하는 날 새벽에 마감에 쫓겨 어쩔 수 없이 타이핑 하는 기분으로 페달보드를 꺼내어 정리하기 시작했다. 한 달 전 제주도에 갈 때 보드에서 컴프레서 페달 한 개만 떼어 가지고 갔었다. 전기잡음 문제를 일으켰던 일렉트로 하모닉스 페달 대신에 MXR 베이스 옥타브 디럭스를 보드에 붙이고, 프리앰프와 컴프레서의 위치를 바꾸어 연결했다. 그것이 공연 무대에서 아주 잘 작동해줬다. 리허설 할 때에 이미 좋은 소리가 나고 있어서 마음 편하게 연주할 수 있었다. 길게 고민했던 것이 아니라 하기 싫어서 버티다가 어쩔 수 없이 새벽에 급조했던 것인데, 결과가 좋았다.

가져간 악기들의 상태도 좋았다. 사실 한 달 넘게 쓰지 않았으니 상태가 나빠질 일도 없었다. 어제 공연에선 절반 분량을 펜더 엘리트 5현으로 연주했다. Passive 모드로만 썼다.

펜더 '64 재즈는 연말에 제주도에서 돌아온 후 두어 주 동안 줄을 풀고 가습기 앞에 세워져 있었다. 평소에 정확하게 조율한 상태에서 오래 두면 넥에 무리가 생기곤 했었는데 어제는 사운드체크부터 공연을 마칠 때까지 거의 여덟 시간 동안 두었어도 멀쩡했다. 올해의 첫 공연은 이렇게 시작했다.



2024년 1월 26일 금요일

The Boxer

며칠 머리 속에서 노래가 재생되고 있었어서 Smokie를 듣고 있다가 유튜브에서 그들의 영상을 찾아 보고 있었다. 중학생 무렵엔 카세트 테이프에 접힌 채 끼워져 있던 속지에서나 볼 수 있었던 사람들이 노래하고 연주하는 것을 구경할 수 있었다. 스모키에서 이어져 지금도 유럽, 러시아에서 공연하고 있는 크리스 노먼의 영상을 보다가, 어떤 무대에서 그가 통기타를 가지고 자기가 좋아하는 곡이라며 The Boxer를 부르는 걸 보았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사이먼과 가펑클의 The Boxer를 틀어보았다.

노래를 들으며 또 한 번 가사를 찾아 읽어보았다. 나는 오랜 동안 'for a pocketfull of mumbles' 라는 구절을 'for a pocket for a numbers'로 잘 못 알은채 지냈었다. 어느날 그 노래를 듣다가 이상하잖아, 라는 생각이 들어 가사를 검색해 보고 내가 엉터리로 알고 있었다는 걸 알았던 것이다. 그 전까지 나는 어릴 적 서점에서 샀던 '팝송책'에 나와 있던 것을 그대로 외운 채로 있었다. 그 이전에 듣고 있을 땐 몰랐다는 것이 더 창피했다.

폴 사이먼과 아트 가펑클이 그 곡에서 주인공이 일자리를 얻지 못하고 너무 외로왔을 때 7번가에서 호객하는 창녀들로부터 위안을 얻곤 했다는 부분을 노래하고 있었다. 나는 그 구절이 그 노래의 문학적, 음악적 완성도를 높였다고, 어릴 때부터 생각해 왔다. 마지막 절에 갑자기 등장하는 권투선수 비유보다 훨씬 좋다고 지금도 생각한다.


 

2024년 1월 24일 수요일

애플 뮤직 클래시컬

 

 애플뮤직 클래시컬이 한국 서비스를 시작했다. 앱을 미리 다운로드 해놓고 "이제 사용할 수 있다"는 알림이 보이자마자 이어폰을 연결하여 들어보기 시작했다. 기돈 크레머, 주빈 메타, 마르타 아르헤리치, 빈 필하모닉 등의 이름을 오랜만에 보았다. 애플뮤직에서 기획한 것으로 보이는 몇 개의 목록에서 음악을 골라 듣기도 했다.

마리아 주앙 피르스의 음반을 들었다. 2006년에 나온 여섯 장짜리 시디, 여섯 시간 반이 넘는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전집이다. 작년에 손열음 씨가 낸 앨범과 같은 곡 구성이다. 손열음의 모차르트 컴플리트 소나타엔 한 곡이 없고, 그래서 전체 시간은 여섯 시간 이십 사분이었다. 두 사람의 연주는 질감이 다르고 호흡도 다른데 짚어내기 어려운 정서적인 닮은 점이 있다. 하루를 잡아서 한 악장씩 두 앨범을 비교하여 들어보면 재밌겠다고 생각했지만, 열 세 시간을 쉼 없이 집중하여 음악을 듣기란 어려울 것이다. 한 번에 시디 한 장씩, 그렇게 들어보면 좋겠다.

2024년 1월 23일 화요일

물건

 

 사람은 도구로 생각한다. 솜씨는 손을 놀려 하는 재주다.

어떤 물건을 쓰느냐는 것은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드러내어 준다.

사람은 물건으로 사유한다는 말이 오늘은 많이 생각 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