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5월 2일 토요일

전주에 다녀왔다.


지난 밤에는 옮겨 적을 것도 많고 읽을 것도 많았다. 새벽 다섯 시가 다 되어 겨우 잠들었다. 아침 아홉 시에 일어나 열 시 조금 넘어서 고속도로를 향해 출발했다.
엄청난 정체 끝에 오후 세 시가 되어 전주에 도착했다. 오래 전 가봤던 전주의 모습은 다 어디가고, 낯선 거리와 생소한 건물들이 보였다.
국제영화제의 공연이라고 하기엔 소박한 무대, 용량이 작은 PA 시스템을 보고 리허설을 할 때엔 걱정을 했었다. 역시 부족한 사운드와 엔지니어링 덕분에 연주하는데에는 애를 먹었다.
그러나 나름 성의껏 준비해준 앰프들과 열심히 일해준 스탭들의 힘으로 공연을 잘 마칠 수 있었다.

전주에서의 콩나물국밥과 돌솥비빔밥은 정말 정말 정말 맛있었다. 그 음식들을 생각하니 지금 이 시간에 갑자기 몹시 배가 고파진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음식값이 너무 비싸졌다는 느낌과, 맛과 모양이 화려해져버린 기분이 들었다.




,

2009년 4월 29일 수요일

고양이 순이와 함께.


깊은 밤, 음악을 꺼두었더니 갑자기 조용해졌다.
꼬마 고양이는 침실의 문을 열어달라고 졸랐다.
그 녀석을 들여보내고 책상 앞으로 돌아오니 소리도 없이 고양이 순이가 의자 위에 올라와 앉아있었다.
비켜달라고 할까봐 순이는 고개를 돌리지도 않은채 눈을 감고 그르릉 소리를 크게 내고 있었다. 손으로 궁둥이를 찔러보아도 꿈쩍도 하지 않았다.
별 수 없이 나는 의자 뒤에 서서 남은 연습을 했다.
수다쟁이 고양이 순이는 내가 의자를 포기한 것을 눈치채고는 안심하는 표정을 하고 잠이 들었다.



,

2009년 4월 24일 금요일

고양이가 꼬질꼬질해졌다.


꼬질꼬질해져있던, 목욕 직전의 막내 고양이 녀석.
일주일 전의 모습이었다.
요즘은 글쓰기도 안하고 사진 정리도 못하고... 책상은 언제나 큰 가방이 엎질러진 것 처럼 너저분하다.

요즘 낮에는 볕이 좋아서 집안의 식물들은 창가에 모여 고개를 쳐들고, 고양이들은 따사로운 곳에서 잠들거나 어두운 방을 찾아 들어가 잠들어버린다. 밤 새워 인형을 만들던 아내도 잠을 청하러 방으로 들어가버린다.

그런 샘나는 장면을 보면서 나는 악기를 들고 시간에 쫓겨 나가야할 때가 자주 생긴다.
나도 낮에 푹 자보고 싶다.




,

2009년 4월 21일 화요일

글을 읽기.


엉성하게 아는 것은 사실은 잘 모르는 것이다. 보통 그런 사람들은 자신이 뭔가를 모르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못한다. 나는 은어를 남발하는 어린 친구들의 인터넷 글쓰기를 보면서는 그 솔직함과 객기에 가끔 손뼉을 쳐줄 때가 있지만, 문장이 되어지지 않는 비문을 늘어놓으면서 글을 씁네 하고 있는 자의식 과잉의 어른들의 글을 보면 기분이 상한다.

그런 글을 옮겨와서 조목조목 빨간줄 쳐주며 지적질을 하고 싶은 마음도 있었다. 요즘은 그것에도 흥미를 잃었다. 모두 최근에 읽게 되어버린 네이버 블로그의 몇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이다.

내가 그들에게 하고 싶은 말은 단순하다. 모르면 모르겠다고 하라는 것이고, 무리하여 무엇인가 써보고 싶다면 그냥 솔직하게 좋다, 싫다를 말하면 좋겠다는 것이다. 그것이 솔직한 글쓰기이다. 음악에 대한 글이라면서 그 안에 음악은 없고 후지기 짝이 없는 국내 음반 속지 작가의 문체를 흉내내어 창의력이라고 우기고 있었다.

다른 글들, 예를 들어 이 음반 저 음악 평을 올리는 사람이 나름 음악관입네 늘어놓고 있는, ‘영어로 노래해야 묵직한 하드록이 완성된다’라는 주장이나, '단편소설보다는 장편소설을 육성하고 문학상을 시상해야한다'는 참신한 외침, 소리의 파장에 대한 용어는 배웠어도 여전히 음악에 대해서는 아는 바가 없는 어떤 사람의 명반과 명기 오디오 타령 등등에 대해서는 뭐라고 말하기도 성가신 일이다.
그 중에서 엊그제 읽어버리고 말게 되었던 한 개의 잡글은 내가 직접 했던 작업에 관한 일이었으므로 몇 자 적어놓고 싶어졌다.

예를 들자면 이런 문장, “약간의 조율 이후 강하게 치고 들어오는 Girl Walking의 개러지성은 다분히 계산적이고 ‘우두두다다’의 그루브는 맨체스터나 런던 외곽 쪽 밴드들의 그것을 노련한 기술자들이 따라하는 것처럼 느껴진다.”  같은 것... 
두어 시간 동안은 볼펜으로 이마를 때려가며 혼낼 수도 있겠다. 그런 글은 일기장에 써두면 좋겠다. '개러지성' 같은 말은 왜 만들어서 사용하는걸까. 그것은 허세일 뿐이다.

그런 사람에게 ‘우두두다다’라는 곡의 편곡이라는 것이 녹음을 시작하기 불과 몇 십 분 전에 완성되었고, 밴드 멤버들의 합주로 겨우 한 번 녹음한 것이 음반에 수록되었다고 말해준다면 뭐라고 할까.  ‘그게 무슨 상관?’이라고 할지도 모르겠다. 
Girl Walking이라는 연주곡의 시작부분을 조율하는 장면으로 여겼다는 것도 좋게 보자면 귀엽다. 사실은 그 곡도 최종편곡이랄 것도 없이 그 자리에서 단 한 번 연주한 것으로 테이크했었다.

그 사람이 영국 출신 밴드들의 음악을 정말 좋아한다면, 그 ‘맨체스터나 런던 외곽’의 밴드들에 대해 실례를 제시하고 우리의 작업물과 비교하여 실증을 내놓을 수 있어야 좋다. 도대체 런던 외곽의 밴드들이라니... 어느 지역까지 해당하는걸까.
뉴저지 인근의 재즈 밴드들의 사운드를 흉내내었으므로 The Bad Plus는 따라쟁이들이다, 라고 써도 욕을 먹지 않고 살 수 있다면 뉴욕의 음악팬들은 부업으로 음악평론을 쓰며 그 비싼 담배값을 벌 수도 있겠다.

'포맷팅에 대한 음반의 강박', '신세대적인 키치함이 아닌 7080 빵가게 데이트 이야기', ‘텍스트와 아키텍쳐가 충돌하는 어색한 순간’ 등등의 문장들... 그런 것을 삼가는 것이 글쓰기 연습의 좋은 기초가 된다. 이런 비문을 늘어놓는 수준이라고 해도 음악을 좋아하며 자신만의 기준과 취향은 있을 수 있다. 일기를 열심히 쓰며 좋아하는 음악을 듣고 있으면 될 일이다.
더 읽고 더 배우는 사람들은 늘 겸양을 떨기 마련이다. 자신의 감상과 주장을 말하고자 할 때에도 자세와 태도가 있어야 한다.

그 사람에게 참고가 될 것인지는 알 수 없지만, 에릭 클랩튼이 슬로우핸드로 불리워지게 된 것은 손이 느려져서 그런 것이 아니었다. 만 몇 천원 정도 여유가 생기시거든 몇 달 전 출간된 에릭 클랩튼의 자서전을 사 읽어보면 좋다.

내 결론은, 그분이 그냥 이렇게 짧게 써놓았다면 훨씬 좋았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김창완밴드는 별로 새로운 것 같지도 않고, 나는 잘 모르겠다. 난 그냥 옛날 산울림이 더 좋다."

솔직하고 명쾌하며 흠을 잡을 수 없는 글이 된다. 그런것이 정직한 글쓰기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