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 아는 분의 집에서, 혹은 도서관이나 서점에서 삼촌의 책을 만나게 되면
삼촌과 그 분의 책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는 것이 아니다.
친인척의 관계를 떠나서 나는 최소한 '그 작가'가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글을 쓰는 것으로 생계를 유지해오면서도, '어떤 신문'에는 글을 싣지 않았다는 것을 고마와한다.
신간이 나와도 그 신문에 광고를 내지 않고, 청탁이 들어와도 그 지면에는 글을 쓰거나 인터뷰를 하지 않았다는 것이 이 사회에서는 그렇게 쉬운 일은 아닌 것임을 잘 알고 있다.
그렇다고 그 신문에 글을 쓰고 광고하려는 분들을 반대편으로 세워 다르게 생각하거나 하지는 않는다. 개인의 선택일 뿐이다.
오늘자 그 신문에는 제가 참여하고 있는 어떤 공연의 기사가 실렸다.
구글의 뉴스검색 서비스 덕분에 기사를 읽게 되었는데, 우스운 것이 눈에 보였다. 연습실에서 찍은 공연 출연진들의 단체 사진을 싣고 그 아래에 사진 설명을 써놓은 것 때문이었다.
그래도 적어두고 싶었다. 위의 사진 설명에는 사소하고 불필요한 사실 왜곡의 문장이 있다.
그 사진은 공연에 출연하는 16인이 모두 모여서 연습을 끝낸 직후에, 미처 악기들을 챙기기도 전에 즉석에서 양해를 얻어 촬영한 것이었다. 사진에 담긴 12명이 '먼저 모여' 연습을 하기전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라는 것은 완전 구라이다.
뭐하러 그런 문장을 집어 넣었을까. 사진 속에 담겨있는 인원이 왜 12명인지 독자들이 궁금해할까봐 한 문장 짜리 소설을 쓴 것이다.
실제는 이러했다.
내 개인의 일이 아니고, 여러 사람들이 땀흘려 준비하는 공연의 홍보를 위하는 일이라고 하니, 나는 소극적인 협조를 했다. 다만 사진에 찍히고 싶지 않았던 마음이 너무 드러났던 모양이다.
이 사진의 원본을 나는 가지고 있다. 나는 제일 가장자리에 서있었는데, 표정이 아주 안좋았다. 나는 표정을 숨기는 재능이 정말 없다.
나는 뷰파인더에 겨우 잡힐 정도로만 거리를 두고 악기를 든 채 앉아있었고, 그것이 보기에 좋지 않다고 판단했는지 기자는 내 모습을 오려내어 트리밍을 했다. 사진에 등장하지 않은 두 사람은 별도의 분장이 필요하여 촬영하지 않았던 것이고, 나머지 한 사람은 연습이 끝난 직후에 화장실에 갔던 것이었다.
전혀 필요없는 창작의 문장 한 줄만 없었어도 참 깔끔했을텐데.
이런 것을 기사를 쓰기 위한 관행이므로 납득해야한다고 할 수도 있겠다.
그런데 이것은 그냥 거짓말이다. 사실이 아닌 것을 의도를 가지고 창작했기 때문이다.
'내 책이 그만큼 안팔려도 뭐 할 수 없지 않냐. 그래도 거기에는 글 안쓴다.'라고 했던 막내삼촌을 문득 만나고 싶었다.
'내 책이 그만큼 안팔려도 뭐 할 수 없지 않냐. 그래도 거기에는 글 안쓴다.'라고 했던 막내삼촌을 문득 만나고 싶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