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아카데미상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아카데미상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0년 2월 11일 화요일

영화.


지난 몇 달 동안 내가 좋아하는 감독의 영화에 관한 소식들이 풍성했었다.
새해의 첫 달에는 봉준호 감독의 수 많은 스피치들을 찾아보며 재미있어 했다. 통역가라기 보다는 문학인에 가까운 샤론 최라는 분이 유명해지는 것을 지켜보는 것도 즐거운 일이었다.
그리고 오늘 미국에서, 감독과 그 영화는 오스카 상을 여러 개 받았다. 기분이 좋았다.

영화는 주관적이고 비타협적인 경험이다. 남들이 역겹다고 하는 영화가 나에게는 아름다울 수도 있고 많은 사람들이 재미있다고 열광하는 영화가 나에게는 참고 봐주기에 고통스러운 경우도 많다. 그래서 영화가 나올 때 마다 평론을 하고 대중들을 대상으로 리뷰를 해주는 분들은 대단하다고 생각한다. 그것은 객관화된 특별한 능력인 것 같다.
올해 그 시상식에 한국영화 한 편과 함께 후보에 올랐던 영화들을 대부분 보았다. 내 취향으로 본다면, 나는 타란티노 감독의 슬픈 동화가 상을 한 개 쯤은 더 받을 줄 알았다. 원테이크처럼 보이도록 찍은 그 영국 전쟁영화는 유치했다. 와이티티 감독의 것은 진부했다. 스콜세지의 영화는 재미있었지만 두 세 번 볼 생각이 들지는 않았다.

아카데미 시상식은 미국의 시상식 방송으로 생중계가 다 지나간 다음에서야 뒤늦게 보았다. 집에는 TV가 없고, 있었어도 굳이 그 종편 방송에서 보고 싶지는 않았을 것이다.
정말 오랜만에 오스카상 중계 전체를, 그것도 레드 카펫 인터뷰 부터 몇 시간 동안 보았다.
내가 어렸던 시절에는 일본어의 흔적이었던 '방화' (邦畵) 라는 명칭으로 '국산 영화'를 불렀었다. 큰 극장에는 주로 당시에 화제였던 미국영화를 보러 다녔다. '방화'는 주로 한적한 동네에서 '동시 상영'을 하는 극장으로 보러 다녔었다. 그랬던 시절을 떠올리면 지금의 한국 영화인들에게 고마운 마음이 든다. 무엇보다도 우리 말로 만들어진 좋은 영화들을 볼 수 있는 것이 고맙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