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팅은 50,000이라는 노래에서 세상을 떠난 록스타에 대해 이렇게 노래하고 있다.
‘We tweet our anecdotes, our commentary
Or we sing his songs in some sad tribute
While the tabloids are holding a story of kiss and tell
That he’s no longer able to deny or refute’
이 곡은 스팅의 앨범 “57th & 9th” (2016)에 실려있다. 이 음반이 발표될 즈음 뮤지션들의 사망소식들이 있었다. 이 곡은 데이빗 보위와 프린스가 세상을 떠난 시점에 쓰여지고 녹음되었다. 그 즈음 글렌 프라이 (Glenn Frey, ‘프리’가 아니다) 도 죽었다. 앨범이 발표된 이후 겨울에는 레미 킬리미스터 (Lemmy Kilimister) 가 사망했다. 스팅은 ‘rock stars don’t ever die, they only fade away’ 라고 노래한다. 그러면서 ‘타블로이드는 죽은이가 더 이상 부인할 수도 반박할 수도 없는 그의 성적인 사생활 보도를 계속하는 동안, 우리는 트위터에 우리의 일화, 우리의 해설을 쓰거나 슬픈 추모의 마음으로 그의 노래를 부르지’ 라고 했다.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는 스팅의 저 노랫말을 떠올리게 했다.
이 영화는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고 있고, 이제 누군가에게는 마음에 오래 남을 좋은 영화로 기억할 수도 있다. 그러나 나의 견해로는 이 영화는 너무 상업적이었고, 그 떠들썩했던 광고만큼 가벼웠으며, 사실을 왜곡하거나 과감히 생략해버렸다. 네 명의 밴드 멤버들은 스테레오 타입의 단순한 캐릭터로 변했다. 심하게 말하면 이 영화는 큰 돈을 들인 립싱크, 흥행에 대한 강박이 느껴지는 거대한 카라오케 같았다. 이 영화는 전기(傳記) 영화가 아니라, ‘실화에 기반을 둔 재연드라마’가 되었다.
영화는 영화일 뿐이고, 미디어의 역할이란 많은 사람들에게 재미와 감동을 주면 그만일 수도 있다. 나는 오랜 팬의 입장에서, 퀸과 프레디 머큐리를 다루는 극영화라면 적어도 이 영화보다는 더 나은 작품이길 바랐다.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는 여자친구와 뒹굴다가도 피아노를 연주하던 어떤 천재가 마음 착하고 순한 성격의 세 멤버들을 만나 6분짜리 명곡을 만든 록스타가 되고, 사생활의 문제 등으로 밴드를 버리고 솔로음반을 만들다가 Live Aid 공연 직전에 마치 돌아온 탕아처럼 밴드에 다시 합류하여 록음악사에 오래 남을 전설적인 공연을 하게 된다는 내용이 되어버렸다. 쉽고, 단순하고, 피상적이다.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는 클린트 이스트우드 감독의 The Bird (1988) 와 대비하여 생각하게 한다. 클린트 이스트우드는 재즈에 대한 깊은 이해와 미국의 근현대사, 그리고 찰리 파커라는 인물에 대한 진중한 탐구를 그대로 영화에 옮겨주었다. 그런데 The Bird 처럼 영화를 만들면, (단지 음악이 비밥재즈였기 때문만이 아니라) 대중적으로 크게 성공하기 어렵다. 진중함과 깊이를 포기하는 대신 드라마와 로맨스, 자극적인 즐거움을 선택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재미있어할 수 있는 영화를 판매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영화는 뒤의 것 - kiss and tell 에 집중했다.
이 영화는 어쨌든 위대했던 록밴드를 다시 소환하는데에 성공했다. 많은 사람들이 이 영화를 좋아하는데에는 영화 자체보다도, 자신들이 위로받고 행복해했던 음악들과 그 음악을 만든 그룹 퀸에 대한 애정이 오래 남아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했다. 뉴욕타임즈에 록음악 비평을 쓰는 A.O. Scott 은 이 영화를 소개하며, “유튜브와 레코드를 보고 듣는 편이 더 좋을 것이다”라고 했다. 나는 그의 의견에 매우 동의한다.
.